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일하다 보면 디자이너가 제안한 UI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표준 패턴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을 종종 마주치게 된다. 이런 사례들을 해결하다 보면 역시 css 세계는 드넓구나 하는 생각이 들고 css의 가능성에 대해서 더 시야가 트이는 것 같다. 그리고 거기서 찾아오는 성취감은 덤이다. 사례가 아직 많진 않지만 마주할 때마다 이것도 모…
“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책 소개 “전문가를 위한 리액트”는 단순히 리액트의 기본 사용법을 넘어 고급 패턴과 성능 최적화,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방법을 다루는 책이다. 이 책은 리액트를 이미 사용해 본 개발자가 더 깊이 있는 이해와 실무적인 기술을 습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웹 개발하면서 white-space 속성은 신경쓰지 않으면 놓치기 쉬운 부분인 것 같다. 계속 필요할 때마다 찾아 봤었는데 머리 속에서 제대로 정리되지 않아서 계속 찾아보게 되는 거 같아 이번에 좀 정리해보려고 한다. 결국엔 각 속성이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상황에서 써야 할지 정리해두는 게 좋을 것 같다. white-space 속성이란? 속성은 텍스트…
Zustand store에서 객체 상태를 구독할 때 비교를 사용하면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Zustand의 기본 동작 Zustand는 기본적으로 상태를 비교할 때 Object.is를 사용한다. shallow 비교란? 는 간단한 데이터에 대해서 빠르게 비교할 수 있는 방식이다. 중첩된 객체의 경우에는 내부 속성까지 비교하…
UI를 구현하다보면 이런 식으로 가운데 정렬된 네비게이션 혹은 헤더를 구현해야 할 때가 있다. 를 이용해서 가운데 요소를 가운데 정렬하거나 의 사용해서 레이아웃을 구현하기도 한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왼쪽이나 오른쪽 요소가 사라질 경우 레이아웃이 깨질 위험이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를 사용해서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HTML 구조 CSS…